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판장의 뜻

반응형

1. 연판장의 뜻

[네이버 지식백과] 연판장 [連判狀]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연판장이란 여러 사람의 의견이나 주장을 표명하기 위하여 연명으로 작성한 문서를 말한다. 서약서나 청원서가 대표적이다.

 

연판의 방법은 각자의 성명을 적고 도장 또는 지장을 찍는 것이 일반적이나, 서명운동 등의 경우에는 자기 성명만을 적기도 한다. 보다 강력한 의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피로써 서명을 대신하는 혈판장을 작성하기도 한다.

 

연판장의 작성은 일반적인 절차를 무시한 집단 행동인 경우가 많아서 물의를 빚기 쉽다. 4·19혁명 후, 5·16군사정변의 주체세력이 되는 소장 장교들에 의한 연판장 작성도 그 한 예이다. 이들은 3·15부정선거와 군내 부정부패에 대한 책임을 지고 송요찬 당시 육군 참모총장을 비롯한 중장급 이상 군수뇌부 장성들의 퇴진을 요구하는 연판장을 돌리려고 하였다. 그들의 모의는 사전에 발각되어 연판장의 작성은 미수에 그쳤지만, 이 사건은 당시 군내외에 큰 파문을 일으켰다.  

 

1998년에는 서울지검과 부산·인천지검의 일부 검사들이 검찰 수뇌부에 반발, 연판장을 만들어 서명작업에 나섬으로써 큰 물의를 일으켰다. 또 같은 해, 서울 시내의 한 초등학교 학생들이 자기들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담임교사를 바꾸어달라는 연판장을 돌려 사회적 물의를 빚었던 일도 있었다.

 

그러나 이런 하극상의 성격을 띤 연판장 외에 집단의 결속을 다지기 위하여 작성하는 연판장도 있다. 예를 들면 조선 말기, 경남지역 최고의 학당으로 민족적 성향이 뚜렷했던 진주의 낙육재 학생들이 구국의 결의를 다지기 위하여 혈서로 작성한 연판장은 집단서약서의 성격을 지닌 것이다. 조선시대 유생들 사이에 왕래하던 글인 유통(儒通)도 연판장의 성격을 띤 것이다. 그러나 이 유통은 당파 싸움을 부추기는 등 많은 폐단을 가져왔다. 고종 때 흥선대원군은 이 유통을 빌미로 많은 서원을 폐지하였다.

 

연판장은 한국에서 유래된 문서 형식으로, 여러 사람이 특정 사안에 대해 동의하거나 반대하는 의사를 명확히 하기 위해 서명이나 도장을 찍어 작성한 문서를 의미합니다. 연판장은 주로 정치적, 사회적 운동에서 사용되며, 다수의 의견을 결집하여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2. 전통적 배경

  연판장의 개념은 조선 시대부터 존재했습니다. 당시에는 관리들이 서로 협력하거나 결의를 다짐하기 위해 연판장을 작성했으며, 이는 집단적인 의사 표현의 수단으로 사용되었습니다. 조선 후기, 특히 정치적 혼란기에는 특정 정치 세력들이 연판장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널리 알리고 지지를 받기도 했습니다.

 

3. 현대적 사용

  현대에 들어서 연판장은 주로 민주화 운동이나 사회적 항의 활동에서 많이 사용되었습니다. 1980년대 민주화 운동 시기에는 학생, 노동자, 지식인들이 독재 정권에 반대하는 연판장을 작성하여 배포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변화를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이는 당시 정치적 억압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4. 정치적 도구로서의 연판장

 연판장은 정치적 상황에서 특정 집단의 의사를 명확히 하고 결속을 다지기 위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최근에도 정치인들이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거나 지지를 얻기 위해 연판장을 활용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정책에 대한 지지나 반대 의사를 명확히 하기 위해 국회의원들이 연판장을 작성하여 발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응형